
임금체불은 근로자의 생존권을 위협하기 때문에 국가가 개입하여 이를 제재하고 있습니다. 임금은 매월 1회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임금을 지급해야 하며 위반할 경우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 벌금에 처합니다. 오늘은 임금체불 신고방법과 무료로 법률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임금체불 신고방법 임금체불 신고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민원신청'에서 온라인으로 '임금체불 진정'을 제거하거나, 사업장 소재지 관할 고용노동관서 고객지원실을 방문하여 사전 상담 후 진정 또는 고소하실 수 있습니다.인터넷이나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가면 '민원신청' 메뉴가 있습니다. 이 메뉴에서 '근로기준'을 선택한 후 임금체불 신고를 하면 됩니다. 신고는 기본적으로 진정 절차로 진행하는데, 고용노동부 근로감독..

은행과 금융회사에서 나의 신용점수가 낮으면 신뢰할 수 없는 사람으로 인정하여 금융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불편한 점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나의 신용점수를 무료로 조회하고, 신용점수를 높이는 방법은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실천할 수 있는 작은 부분부터 시작해서 원하시는 신용점수를 만드시기 바랍니다. 신용점수 무료조회 방법 신용평가사와 제휴를 맺어 다양한 플랫폼에서 무료로 신용점수 조회가 가능합니다. 1. 나이스지키미 2. 올크레딧(KCB) 3. 금융사 등 각종 어플(카카오뱅크, 토스, 네이버페이 등) ▣ 나이스지키미 보통 금융회사에서 요구하는 신용점수는 나이스지키미와와 올크레딧 2가지입니다. 신용점수뿐만 아니라 연체 이력과 상환 이력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올크레딧(KCB) 마찬가지로, 홈페이지에..

상속세는 신고 기한 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가족 중 한 명이 사망하면 남은 재산은 가족에게 상속되며, 물질적 재산을 상속받으면 상속세를 내야 합니다. 오늘은 상속세 신고기간, 제출서류, 상속세율 등에 대해 알아볼테니 상속세 납부 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상속세 신고기간 ▶ 피상속인이 거주자인 경우 피상속인 또는 상속인이 국내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 피상속인이 비거주자인 경우 피상속인 또는 상속인이 외국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로부터 9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상속세 신고시 필요한 서류 1. 상속세 과세표준신고 및 자진납부계산서 2. 상속세 과세가액 계산명세서 3. 상속인별 상속재산 및 그 평가명세서(별지 제..

올해 3월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을 놓쳤더라도 5월 1일부터 접수가 시작되는 근로장려금 정기 신청을 통해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3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신청자격, 지급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테니 해당되시는 분들은 꼭 혜택받으시기 바랍니다. 2023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 신청기간(지급일) 올해는 총 4회 신청이 가능합니다. ▷ 정기신청 - 2022년 소득분 기준으로 2023년 5월 1일 ~ 5월 31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 지급일은 2023년 9월 중에 지급될 예정입니다. ▷ 반기신청 - 2022년 하반기 소득분은 2023년 3월 1일 ~ 3월 15일에 신청이 진행됐습니다. - 지급일은 2023년 6월입니다. ▷ 2023년 반기신청 - 2023년 9월 1일 ~ 9월 15일 신..